사업 배경

코로나 19 영향으로 불안·우울감, 그리고 개인의 정신적 트라우마가
사회 전체로 전염병처럼 유행하는 상황 속에서 대중적이면서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필요

국민 트라우마 확산

개인의 정신적 트라우마가 사회 전체로
전염병처럼 유행하는 상황을 뜻함

2명 중 1명이 우울

코로나19 장기화로 우리 국민 47.5%가
불안·우울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국민 심리방역 강화

최근 코로나19가 '3차 대유행'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정부가 국민들의 '심리방역'을 한층 더 강화

사업 목적

목표 1. 명상문화 플랫폼으로서 동국대학교 위상 강화

명상전문 학술연구 및 보편적인 명상관련 지식들을 국내·외에 전파함으로써 한국 명상문화 플랫폼으로서
우리대학의 위상을 강화하는 한편, 건학이념 구현 및 포교의 전진기지 역할 수행

목표 2. 코로나19 장기화로 국민 트라우마 완화

코로나 19 장기화로 개인의 정신적 트라우마가 사회 전체로 전염병 처럼 유행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으로 고통 받는 국민들에게 명상을 통한 위로와 평화와 행복을 전달 

목표 3. 명상으로 건강한 마인드 만들기!

현대사회의 개인, 집단, 계층, 연령, 문화, 국가를 초월하여 일상에서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명상법을 발굴 보급함으로써, 명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개인의 건강과 행복을 사회와 국가로까지 확산

기대효과

"한국 명상문화 플랫폼 중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 진흥 선도

  • - 명상문화 진흥을 통한 불교 정신의 사회적 확산 및 건학이념 구현
  • - 다양한 응용명상의 난립 속에서 정통 명상기관으로서의 역할 및 기준 제시
  • - 명상 인구 증가 유도를 통한 포교의 전진기지 역할 수행

명상 산업과 연계성 모색

  • - 4차 산업 융합 콘텐츠 개발(AR/VR)
  • - 명상관련 신산업분야 연계 모색
  • - 명상 전문인력 배출을 통한 사회 수요 부응 및 취업률 제고

新 한류 콘텐츠 선도

  • - ‘K-명상’ 브랜드화를 통한 정부의 신한류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 한류 장르 다변화 중요 콘텐츠로 자리매김
  • - 명상 콘텐츠 개발과 보급을 통해 외국 관광객 유치 및 국가 브랜드 제고

행사 구성 체계

온라인 플랫폼 구축 인프라를 기반으로 ‘학술, 체험, 문화, 아카이빙’ 등 4개 분야 총 11개 프로그램 진행

  • 학술
  • 컨퍼런스
  • 포스터발표
  • 체험
  • 전통·응용명상
  • 행복배달명상
  • 명상코칭
  • 명상가이드북
  • 명상입문가이드
  • 아코명상AR 앱
  • 문화
  • 명상예술공모전
  • 명상콘서트
  • 명상도서관
  • 아카이빙

프로그램

  • 온라인 플랫폼 구축
  • (3D홈페이지)
  • 유튜브
  • (Youtube)
  • (ZOOM)

인프라

전체 행사 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