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참가 안내

온·오프라인 참석 사전신청하기
  • 사전신청 시, 온·오프라인 참여방식 선택이 가능합니다.
  • 온라인의 경우 행사 1일 전 문자로 참여 링크를 발송드립니다.
  • 오프라인의 경우 행사 1일 전 문자로 자세한 장소를 공지드립니다.
  • 참가비는 무료입니다.
강연진행 안내 및 사전질문하기
  • 컨퍼런스 진행 중에는 진행자 이외의 비디오와 마이크는 켜지지 않습니다.
  • 본 프로그램의 라이브 강연은 한국어와 영어 동시통역으로 진행되며, 영상 강연은 한글과 영문 자막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온라인 라이브 방송 시 실시간 Chat 기능을 통해 연사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 연사자들에게 사전 질문 사항이 있으실 경우, 아래의 사전질문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자유롭게 질문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명상 엑스포 컨퍼런스 일정

Day-1
6. 17 (금)
“명상과 치유”
Live
10:00~10:30
Opening Ceremony
Live
10:30~11:30
Zev Schuman Olivier
Zev Schuman Olivier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 웰빙을 위한 마음챙김 훈련 (Mindfulness Training for Living Well -MTLW)

- 주요돌봄을 위한 마음챙김 훈련 (Mindfulness Training for Primary Care -MTPC)

Live
11:30~12:30
Richard Schwartz
Richard Schwartz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IFS프로그램 개발자

- 내면가족 체계 (Internal Family Systems): 트라우마 치료를 중심으로

Live
14:00~15:00
Timothy Harrison
Timothy Harrison 에모리 대학 CBCT 부국장

- 인지에 기반한 연민 훈련 (CBCT)

Live
15:00~16:00
Tania Singer
Tania Singer 막스플랑크 사회신경과학 연구책임자

- 사회적 인지와 정서 기저의 신경체계에 미치는 명상효과

Video
16:00~17:00
Christopher K. Germer
Christopher K. Germer MSC프로그램 공동개발자

- MSC(Mindful Self-Compassion)의 심리치료적 활용

Day-2
6. 18 (토)
“명상과 과학”
Live
10:00~11:00
Inna Khazan
Inna Khazan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명상과 심리치료 연구소 소장

- 심박변이도와 마음챙김 그리고 연민 Heart Rate Variability, Mindfulness and Compassion.

Live
11:00~12:00
Sara W. Lazar
Sara W. Lazar 하버드 의과대학 교수

- 명상의 신경과학 (The Neuroscience of Meditation)

Video
13:00~14:00
Christian Stiglmayr
Christian Stiglmayr 독일 DBT 임상전문가

- 변증법적 행동치료(DBT)의 명상기제 : 자해와 자살위기

Live
14:00~15:00
김종우
김종우 경희대 한방신경정신과 교수

- 한의학에서 본 명상기제

Live
15:00~16:00
박문호
박문호 박사 뇌과학 전문가

- 물리학에서 본 명상기제

Live
16:00~17:00
이강욱
이강욱 강원대 의과대학 교수

- 정신의학에서 본 명상기제

Day-3
6. 19 (일)
“명상과 미래사회”
Live
10:00~11:00
Judson Brewer
Judson Brewer 브라운 의과대학 교수

- 명상과 심리치료: 비일상적 상태로부터의 학습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Learning from Non-ordinary States)

Live
11:00~12:00
이진명 은산스님
- 이유섭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외래교수
- 은산스님 동국대학교 “치유와 행복” 융합 연구원

- 메타버스를 활용한 명상교육 및 체험 학습

Live
14:00~15:00
채정호
채정호 가톨릭 의과대학 교수

- 명상의 미래 : 일상, 가상 및 임상의 측면에서

Live
15:00~17:00
최현민수녀님 박용한 서광스님
- 최현민수녀님(종교대화씨튼연구원 원장)
- 박용한(대한명상의학회 회장)
- 서광스님(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 4차 산업시대 한국명상의 역할

명상 엑스포 컨퍼런스 일정

Day-1
6월17일
“명상과 치유”
프로그램 실습 강연자 프로필 & 프로그램 내용

제브 슈만 올리비에 Zev Schman Olivier

Center for Mindfulness and Compassion의 Director, 캠브리지 건강 연합(CHA: Cambridge Health Alliance)의 중독 연구 이사, Harvard Medical School 정신의학과 조교수, 하버드 의과대학 마음챙김 및 연민 센터 소장

웰빙을 위한 마음챙김 훈련(MTLW: Mindfulness Training for Living Well): 행동 변화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고 만성질환을 포함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잘 사는 방법을 배우는 8주 과정의 명상 치유 프로그램이다. 건강하고 즐거운 행동을 유지하기 위해 만성 질환과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마음챙김을 강화하여 건강한 커뮤니티 연결을 도모한다.

1차 진료를 위한 마음챙김 훈련 (MTPC: Mindfulness Training for Primary Care): 마음챙김에 근거한 스트레스 완화(MBSR: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에서 개발된 접근법으로 8주 과정의 명상 치유 프로그램이다. 1차 진료 적응을 목표로 하고, 보다 잘 사는 방법으로 건강한 행동 변화를 지원하기 위해 마음챙김과 만성 질환 자가 관리 활용을 포함한다.

리챠드 슈워츠 Richard Schwartz

내면가족체계(IFS) 모델의 개발자. Harvard Medical School 정신의학과 겸임 교수

IFS(Internal Family Systems)는 정신건강에 나타나는 증상을 병리적 측면보다는 부분들의 다양한 표현으로 본다. 따라서 각각의 부분들이 서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들의 작용기능과 갈등, 동맹 등의 구조적인 역동이 어떻게 치유되는지 그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불안, 우울, PTSD, 약물남용과 관련된 트라우마를 그 대상으로 한다. IFS는 정신치료와 상담 분야에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명상기반 치유에도 풍부한 사례와 그 기법을 제공한다.

티모시 해리슨 Timothy Harrison

Cleveland Clinic과 Cambridge Health Alliance, Emory Nursing 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에서 임상의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CBCT를 지도하며, Emory University의 명상 과학 및 연민 기반 윤리 센터의 CBCTⓇ 부국장이다.

CBCT(Cognitively-Based Compassion Training)는 Lobsang Tenzin Negi, Ph.D가 Emory University에서 개발한 연민을 강화하고 유지하기 위해 고안된 명상프로그램이다.

주의력 안정 및 정서적 인식 향상에 대한 훈련과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분석적 성찰이 포함된다. 이는 개인의 회복력을 지원하고, 다른 사람에 대한 포괄적이고 정확한 이해를 촉진하여, 궁극적으로는 이타적 동기를 강화한다. 자신과 타인을 이롭게 할 수 있는 더 긍정적인 방식인 자애와 연민으로 자신의 경험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한다.

타니아 싱어 Tania Singer

독일의 사회 신경과학자이자 심리학자이며 공감과 연민, 정신 훈련 연구에 대한 세계적인 전문가이다. 독일 막스 플랑크 사회 신경과학 연구소의 과학 책임자로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취리히에 있는 사회 신경과학 및 신경경제학의 첫 번째 회장 겸 공동 이사로 재직. 2010년에서 2019년까지, 인간과 인지 두뇌 과학을 위한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사회 신경 과학부의 이사 역임. 공정성, 공감, 연민과 같은 인간의 사회적 감정과 그 근간이 되는 호르몬과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연구에 주력하며 Dennis Snower 교수와 함께 '돌봄의 경제(The Economics of Caring)’틀을 개발했다. 현재 베를린 시민의 정신 건강과 사회적 결속에 대한 대규모 Covid 관련 연구를 진행중에 있다.

크리스토퍼 거머 Christopher K. Germer

하버드 의과대학원과 그 산하인 캠브리지 건강 연합(CHA: Cambridge Health Alliance)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명상과 심리치료 연구소 및 마음챙김 연민 연구소 설립 회원이다. 크리스틴 네프와 공동으로 마음챙김-자기연민 Mindful Self-Compassion, MSC프로그램을 개발했다.

MSC(Mindful Self-Compassion) 은 현대인에게 취약한 자기비난과 소외감을 극복하고 친절과 자기연민 기술을 배양하기 위해서 설계된 8주 과정의 워크샵 프로그램이다. MSC의 배경은 불교명상, 뇌과학 및 임상심리의 치료적 경험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로그램의 내용은 마음챙김(Mindfulness)과 자애(Loving-Kindness) 그리고 자기연민(Self-Compassion)을 증진하는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Day-2
6월18일
“명상과 과학”
강연자 프로필

이나 카잔 Inna Khazan

Institute for Meditation and Phychotherapy (IMP)의 회장직과 Harvard Medical School 정신의학과 교수직을 맡고 있으며 호흡 및 심박수와 같은 비자발적 행동을 제어 하도록 신체를 훈련시키는 과정인 바이오피드백과 마음챙김을 결합하여 불안과 두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면증을 연구하고 있다.

사라 라자르 Sara W. Lazar

존스홉킨스대학 졸업. 하버드대학에서 박사학위 취득.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정신과 부연구원이자 하버드의과대학 심리학과 조교수. 심신의학연구소(Mind-body Medical Institute)에서 활동. 명상 수행 전후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통한 뇌의 구조적 변화를 밝히는 연구 진행

크리스티안 스티글마이어 Christian Stiglmayr

Eichstätt와 Freiburg에서 심리학을 수학, 베를린 프라이 대학교를 거친 후, 정신치료기술 및 방법을 위한 훈련 기관인 Arbeitsgemeinschaft für Wissenschaftliche Psychotherapie Berlin(AWP 베를린)을 설립했다. 현재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 강사

DBT(Dialectical Behavior Therapy)는 처음에는 자살, 자해를 보이는 경계선 성격장애 내담자를 효율적으로 돕기 위해 창안되었으나, 동기강화, 대처기술 증진, 강점강화 등의 목적으로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대립되는 사상들이 균형을 이루고 통합 및 종합하는 것을 강조하는 변증법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사고, 정서,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는 여러 가지 인지행동적 전략과 마음챙김(mindfulness) 명상활동을 절충하여 구성되었다.

김종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수이자 한의학정신건강센터장. (전)한국명상학회 회장. 명상을 의학, 심리학의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는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각종 정신작용을 한의학적 인체관에 입각해 정신과학과의 비교연구, 화병을 비롯한 각종 정신과적 질환의 임상연구 및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등을 실시하고 있다.

박문호

경북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텍사스 A&M 대학교에 유학해 전자공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고, 이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에서 재직. 30여 년간 자연 과학서를 두루 섭렵하면서 삶의 근원을 캐는 공부에 매진. 천문학과 물리학, 뇌 과학 분야의 전문가로 통하며, ‘연구공간 수유+너머’, 삼성경제연구원, 서울대, KAIST, 불교 TV, YTN 사이언스 등에서 우주와 자연, 뇌를 주제로 강연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강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동대학원 졸업. 현재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Psychiatry Neuroimage Lab in Harvard Medical School & Brigham and Women’s Hospital에서 연구 교수를 역임. QEEG, ERP, fMRI, DTI, PET 등 두뇌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탐구와 인간 심리의 유연성에 관한 연구에 주력.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이사장 역임. 현재 대한명상의학회 부회장, 한국임상예술학회 부회장, 맥락과학 연구회 정회원

Day-3
6월19일
“명상과 미래사회”
강연자 프로필

져드슨 부루어 Judson Brewer

Mindfulness Center의 연구 및 혁신 책임자이자 Brown University 의과대학 공중보건 및 정신의학부의 행동 및 사회과학 부교수. 정신과 의사이자 중독에 대한 마음챙김 훈련의 국제적 전문가. 흡연, 감정적 섭식 및 불안에 대한 대면 및 앱 기반 치료를 포함하여 행동 변화를 위한 새로운 마음챙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테스트. 표준 및 실시간 fMRI와 소스 추정 EEG를 사용하여 마음챙김의 기본 신경 메커니즘을 연구했으며 현재 이러한 결과를 임상 사용으로 번역하고 있다.
Brewer는 불안, 과식 및 흡연에 대한 앱 기반 디지털 치료 프로그램인 MindSciences, Inc.(현재 DrJud로 알려짐)를 설립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였고, 현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로 정신과 치료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 (unmet needs)를 채우기 위한 치료기법 개발이 주 관심사이다. 국내 최초로 경두개자기자극치료를 도입하였고 국내 대형 대학병원 최초로 15년 전부터 정기적 마음챙김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해 오고 있다. 대한명상의학연구회 회장, 대한명상의학회 창립회장,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창립회장, 대한정서인지행동의학회 창립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한명상의학교육연구원 원장과 대한불안의학회 회장이며 움직임 명상과 신체 자각을 중심으로 하는 <바마움(바른 마음을 위한 움직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유섭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디자인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외래교수로 재직중. 캄아일랜드, 티쓰리엔터테인먼트 등 3d Manager. 경희사이버대학교 소프트웨어디자인융합스쿨 겸임교수

은산스님

경희대 한의과대학 졸업 , ‘치유와 행복’ 융합 연구원

서광스님

미국 ITP에서 자아초월 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불교명상과 수행, 정신치료를 접목하는 연구를 해오고 있으며, 사단법인 한국명상심리상담연구원을 설립하여 불교와 선의 원리를 응용한 자아초월프로그램, RHS프로그램 개발하였고 불교심리학과 명상심리상담, 자아초월심리치료 관련 강의와 워크숍 및 집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MSC프로그램 Teacher trainer이자 CMSC(Center for MSC) Mentor. 동국대학교 ‘치유와 행복’ 융합연구소장, (사) 한국명상심리상담 연구원 원장

최현민수녀님

연세대학교 이학석사와 서강대학교 문학석사(종교학), 문학박사(종교학), 일본 난잔대학 종교문화연구소 연구원, 벨기에 루뱅대학교 연구원. 영성생활 편집인과 서강대학교강사로 현재 종교대화 씨튼연구원 원장. 종교대화 씨튼연구원은 김승혜 수녀님과 종범스님(전 중앙승가대학 총장), 최근덕 성균관장, 개신교 신자인 길희성 명예교수(서강대학교 종교학과)등으로 결성된 영성의 토착화와 종교 간의 학문적 대화를 위한 연구원이다.

박용한

가톨릭대학교 의학대학교와 동 대학원 졸업. 박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원장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대한의사협회 정보통신위원회 및 사회참여위원회 위원 역임, 대한명상의학회 사띠강화프로그램 개발, 미국정신분석학회(AAPDPP) 연례회의 "마음챙김수행을 통한 자기분석 (Self-analysis by mindfulness practice)" 강연, 현재 대한명상의학회 회장

소개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서울특별시
  • 주관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종학연구소
  • 일시 : 2022년 6월 17일(금) ~ 6월 19일(일)
  • 공동주최 : 동국대학교, IMP*(Institute for Meditation and Psychotherapy)
*IMP는 1995년에 설립된 하버드 의과대학 정신의학과 소속 CHA(Cambridge Health Alliance: 케임브리지 공중 보건위원회 내의 공공 기관) 산하와 연계되어 있으며 명상과 현재 서양의 과학적 심리학적 모델을 융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문기관이다.